로보락 S8 MaxV Ultra와 로보락 S8 Max Ultra 둘다 비슷해보이지만 배수 시스템과 장애물 회피에서 다른 점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배수 시스템 : 직배수 vs 물탱크
플래그십 로봇 청소기를 구매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될 점은 배수 방식의 선택입니다. 플래그십 로봇 청소기는 물걸레 자동 청소 기능이 있는데 해당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청수 공급과 오수 배출이 필요합니다. 물탱크형은 청수통과 오수통이 별도로 달려있어 직접 청수와 오수통 관리를 해줘야하는 대신 거치가 자유롭습니다. 반면, 직배수형은 상하수관에 직접 연결되어 자동으로 청수/오수 관리가 가능하므로 배수가 좀 더 편리합니다. 대신 거치 위치가 제한됩니다.
S8 MaxV Ultra 직배수형은 상하수관과 직접 연결을 해서 물걸레 청소용 물 공급 및 오수 처리를 자동으로 해줍니다. 도크 높이도 더 낮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높습니다. 대신 설치 위치가 상하수관 근처로 제한되며 별도 설치 공사가 필요합니다.
반면, S8 MaxV 울트라 물탱크형 및 S8 Max 울트라 물탱크형은 청수통과 오수통이 별도로 있어서 청수 공급 및 오수통을 직접 관리해야합니다. 대신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며, 구매 후 즉시 사용 가능합니다.
모델명 | S8 MaxV Ultra | S8 Max Ultra | |
---|---|---|---|
배수 시스템 | 직배수 | 물탱크 | 물탱크 |
![]() |
![]() |
![]() |
|
설치[1]직배수형은 상수관, 하수관 연결을 위해서 싱크대 등 근처로 위치가 제한됩니다. 단, 싱크대 진열장 리폼 공사의 경우 직배수 연결과 별개로 진행하셔야 합니다. | 별도 공사 | 즉시 사용 | |
거치[2]물탱크형은 전원 코드만 있다면, 어디든지 설치 가능합니다. 직배수형은 상하수관 근처로 위치가 제한됩니다. 베란다의 상하수관이 있지만 직사광선이나 습기 등의 문제로 대부분 싱크대 근처로 설치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 상하수관 근처 | 자유 | |
도크 청수통[3]물탱크형에서 깨끗한 물을 채워 로봇청소기에 물걸레용 물을 공급하거나, 도크에서 물걸레 세척을 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직배수 모델의 경우 수도관과 직접 연결해서 공급을 받습니다. | 상수관 직접 연결 | 4,000ml | |
도크 오수통[4]물탱크형에서 물걸레를 세척하고 남은 오수입니다. 냄새가 있는 편이라 직접 버리고 청소를 해줘야해서 귀찮은 편입니다. 직배수형은 바로 하수관에 연결되어서 관리가 필요없습니다. | 하수관 직접 연결 | 3,500ml | |
도크 높이(cm)[5]보통 로봇청소기는 싱크대 진열장 리폼 공사를 통해서 거치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제품 높이가 진열장에 들어가는지 미리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물탱크형의 높이가 높습니다. | 30.0 | 47.0 | |
도크 가로(cm) | 40.9 | ||
도크 깊이(cm) | 41.9 | ||
판매 정보 |
2.장애물 회피 : RGB 카메라 및 홈캠 지원 유무
두 번째 차이점은 장애물 회피입니다. 로보락의 플래그십 로봇청소기는 머리 위에 있는 LDS 센서를 360도 방향으로 빛을 쏴서 2D 정보로 방의 구조도를 맵핑합니다. 주행을 하면서 근거리 장애물은 적외선 센서를 구조광 형태로 쏴서 물체에 반사된 패턴의 왜곡도를 보고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해서 장애물 회피를 하게됩니다. 단, 구조광 적외선 센서는 색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RGB 카메라가 추가로 탑재된 모델의 경우 색 구분을 통해서 알루미늄 용품, 대리석 바닥, 거울 같은 반사율이 높은 물품에 대한 회피력이 보완됩니다. RGB가 탑재된 모델에는 눈(Vision)을 뜻한 V가 모델명에 들어갑니다.
S8 MaxV Ultra는 LDS로 2D 맵핑을 하며, 구조광 센서로 근거리에서 장애물과의 거리를 인지하고 회피를 합니다. 나아가 RGB 카메라가 장착되었기 때문에 물체의 색을 인식하므로 반사율이 높은 거울, 대리석 자재, 금속 용품에 대한 회피력이 좀 더 높아서 최대 73종의 사물 구분이 가능합니다. 또한 RGB 카메라가 있으므로 홈캠도 지원해서 외출하셨을 때 반려동물이나 아이 관찰에 활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S8 Max Ultra는 LDS로 2D 맵핑을 하고, 구조광 센서로 근거리 장애물 회피력은 좋지만, RGB 카메라가 없기 때문에 반사율이 높은 대상에 대해서는 회피력이 살짝 밀려서 최대 42종의 사물 인식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 반사율이 높은 물품을 치워놓고 청소를 하신다면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좋은 장애물 회피 성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RGB 카메라가 없으면 홈캠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로봇청소기의 근본적인 카메라 보안성에 대한 불안감이 있으신 분께는 좀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모델명 | S8 MaxV Ultra | S8 Max Ultra | |
---|---|---|---|
배수 시스템 | 직배수 | 물탱크 | 물탱크 |
![]() |
![]() |
||
시스템 | Reactive AI 2.0 | Reactive 3D | |
사물 인식 | 73종 | 42종 | |
맵핑[6]로봇 청소기의 LDS 센서는 360도 방향으로 직선 광선을 보내서 2D 형태로 공간 맵핑을 그려냅니다. | LDS | ||
근접 센서[7]LDS로 그려낸 맵핑을 기반으로 로봇청소기는 주행을 하면서, 가까이 오는 사물은 적외선 근접 센서로 회피하게 됩니다. 구조광 센서는 물체에 격자 패턴을 쏘아서 왜곡된 정도로 거리를 측정합니다. | 구조광 | ||
RGB[8]RGB 카메라는 Red, Green, Blue 삼원색을 바탕으로 인간의 ‘눈(Vision)’의 역할을 하며 최상위 플래그십에 보통 탑재됩니다. 적외선 센서는 물체의 색을 볼 수 없기 때문에 RGB 센서는 물체의 색을 보면서 거울, 알루미늄 소재, 대리석 바닥 등 반사율이 높은 대상에 대해서 회피력을 높여줍니다. 또한 홈캠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 O | X | |
홈캠[10]RGB 카메라가 센서로 장착된 로봇청소기는 홈캠 기능이 제공됩니다. 만약 보안상 홈캠 때문에 로봇청소기 사용을 망설이고 계신다면, 라이브 카메라를 끄거나, RGB 카메라가 없는 모델(모델명에 V가 있으면 RGB가 탑재- MaxV, CurV)을 구매하시면 어느 정도 보안 위협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 O | X | |
판매 정보 |
3.음성 제어 : 직접 vs 타사
세 번째 차이점은 음성 제어 방식입니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로봇청소기도 음성으로 명령 제어가 가능합니다. 직접 제어 방식의 경우 기기 자체에 내장된 명령어를 통해서 별도 명령어 등록을 하지 않고 바로 명령이 가능합니다. 반면, 타사 앱 제어 방식의 경우 구글 홈, 애플 시리, 네이버 클로바, 아마존 알렉사 같은 타사 인공지능 비서 앱 등을 통해서 명령어를 별도 등록을 해야 하므로 셋팅이 필요합니다.
S8 MaxV 울트라는 직접 음성 제어를 지원하므로 내장된 31가지 명령어를 통해서 진공 청소부터 물걸레 청소 및 강도 변경까지 다양한 명령어 제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S8 Max 울트라는 타사 앱을 통한 음성 제어만 제공하므로 음성 제어가 필요하신 경우 별도 앱 설치 및 명령어 등록을 해야 음성으로 청소기 제어가 가능합니다.
모델명 | S8 MaxV Ultra | S8 Max Ultra | |
---|---|---|---|
배수 시스템 | 직배수 | 물탱크 | 물탱크 |
직접 음성 제어 | 31가지 명령어 | X | |
타사앱 음성 제어 | 구글 홈 애플 시리 네이버 클로바 아마존 알렉사 |
||
판매 정보 |
로보락 S8 MaxV Ultra vs S8 Max Ultra : 최종 선택은?
S8 MaxV Ultra 직배수형은 집에 반사율이 높은 물품이 많고, 홈캠으로 반려동물이나 아이 관찰이 필요하고, 청수통 채움이나 오수통 관리도 자동으로 돌려서 노동을 최소화하고 싶으신 경우 직배수 버전을 추천합니다.
S8 MaxV Ultra 물탱크형은 집 구조가 복잡하고, 홈캠 활용이 필요하시며 별도 공사없이 즉시 사용이 필요하신 경우 적합한 제품입니다.
S8 Max Ultra 물탱크형은 반사율이 높은 물품이 적고, 보안성이 높은 제품을 찾고 계시며, 별도 공사없이 즉시 사용 가능한 플래그십 제품이 필요하신 경우 적절한 제품입니다.
모델명 | S8 MaxV Ultra | S8 Max Ultra | |
---|---|---|---|
배수 시스템 | 직배수 | 물탱크 | 물탱크 |
![]() |
![]() |
![]() |
|
추천 | 높은 회피 직배수 | 고성능 즉시 사용 | 카메라 보안 안정성 |
배수 시스템 | 직배수 | 물탱크 | |
설치[1]직배수형은 상수관, 하수관 연결을 위해서 싱크대 등 근처로 위치가 제한됩니다. 단, 싱크대 진열장 리폼 공사의 경우 직배수 연결과 별개로 진행하셔야 합니다. | 별도 공사 | 즉시 사용 | |
거치[2]물탱크형은 전원 코드만 있다면, 어디든지 설치 가능합니다. 직배수형은 상하수관 근처로 위치가 제한됩니다. 베란다의 상하수관이 있지만 직사광선이나 습기 등의 문제로 대부분 싱크대 근처로 설치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 상하수관 근처 | 자유 | |
도크 청수통[3]물탱크형에서 깨끗한 물을 채워 로봇청소기에 물걸레용 물을 공급하거나, 도크에서 물걸레 세척을 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직배수 모델의 경우 수도관과 직접 연결해서 공급을 받습니다. | 상수관 바로 연결 | 4,000ml | |
도크 오수통[4]물탱크형에서 물걸레를 세척하고 남은 오수입니다. 냄새가 있는 편이라 직접 버리고 청소를 해줘야해서 귀찮은 편입니다. 직배수형은 바로 하수관에 연결되어서 관리가 필요없습니다. | 하수관 바로 연결 | 3,500ml | |
도크 높이(cm)[5]보통 로봇청소기는 싱크대 진열장 리폼 공사를 통해서 거치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제품 높이가 진열장에 들어가는지 미리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물탱크형의 높이가 높습니다. | 30.0 | 47.0 | |
도크 가로(cm) | 40.9 | ||
도크 깊이(cm) | 41.9 | ||
장애물 회피 | RGB + 구조광 | 구조광 | |
시스템 | Reactive AI 2.0 | Reactive 3D | |
사물 인식 개수 | 73종 | 42종 | |
맵핑[6]로봇 청소기의 LDS 센서는 360도 방향으로 직선 광선을 보내서 2D 형태로 공간 맵핑을 그려냅니다. | LDS | ||
근접 센서[7]LDS로 그려낸 맵핑을 기반으로 로봇청소기는 주행을 하면서, 가까이 오는 사물은 적외선 근접 센서로 회피하게 됩니다. 구조광 센서는 물체에 격자 패턴을 쏘아서 왜곡된 정도로 거리를 측정합니다. | 구조광 | ||
RGB[8]RGB 카메라는 Red, Green, Blue 삼원색을 바탕으로 인간의 ‘눈(Vision)’의 역할을 하며 최상위 플래그십에 보통 탑재됩니다. 적외선 센서는 물체의 색을 볼 수 없기 때문에 RGB 센서는 물체의 색을 보면서 거울, 알루미늄 소재, 대리석 바닥 등 반사율이 높은 대상에 대해서 회피력을 높여줍니다. 또한 홈캠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 O | X | |
홈캠[10]RGB 카메라가 센서로 장착된 로봇청소기는 홈캠 기능이 제공됩니다. 만약 보안상 홈캠 때문에 로봇청소기 사용을 망설이고 계신다면, RGB 카메라가 없이 구조광 센서나 IR 카메라만 달린 적외선 방식의 하위 모델들을 구매하시면 어느 정도 보안 위협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 O | X | |
최대 흡입력[*]로봇청소기 흡입력은 숫자 차이 만큼 성능 차이를 확인하기 힘들다는 평이 많습니다. 특히 같은 제품에서는 더 차이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참고 정도의 옵션입니다. | 10,000Pa | 8,000Pa | |
직접 음성제어 | 31가지 명령어 | X | |
타사앱 음성 제어 | 구글 홈 애플 시리 네이버 클로바 아마존 알렉사 |
||
판매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