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락 S9 MaxV Ultra, S8 MaxV Ultra, S8 Max Ultra 등 이름과 기능이 헷갈리기 쉬운데요. 해당 제품들의 물걸레, 청소 성능, 가구 밑 청소, 문턱 넘기, 카펫 청소, 브러시, 그리고 배수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딱 맞는 제품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1.메인 물걸레 : 8N x 온수 vs 6N x 상온
첫 번째 살펴볼 점은 물걸레 성능입니다. S9 MaxV U는 개선된 물걸레 청소가 장점입니다. S8보다 26% 더 커진 물걸레 면적과 로봇 앞부분을 들어 올려, 물걸레 압력을 최대 8N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로봇 물통 온도가 상온에서 70도로 올라갔고, 물걸레 세척판 자동 청소 기능까지 제공되어 도크 관리도 더욱 편리해졌습니다.
한편, S8 MaxV/Max U는 자동 물걸레 청소·세척·건조가 유용합니다. 출퇴근 등으로 주중에 물걸레질하기 힘든 분들도 앱에서 시간만 설정해 두면 퇴근 후 이미 바닥이 깔끔하게 닦여 있고, 물걸레 세척과 건조까지 완료되어 뽀송뽀송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 |
![]() |
||
추천 | 개선된 물걸레 성능 | 올인원 청소·세척·건조 | |
물걸레 압력[1]로봇청소기의 물걸레는 진동형 < 회전형 < 롤러형 순서로 압력이 높아집니다. S9에서는 진동형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반대편을 들어서 물걸레 부분의 마찰력을 최대한 높여줍니다. | 8N | 6N | |
물걸레 면적 | 1.26 * ∂ | ∂ | |
물걸레[2]진동형 물걸레는 얇기 때문에 건조가 빨라서 잦은 물걸레 청소에 좀 더 위생적입니다. | 진동형 분당 4000회 |
||
로봇 물통 온도[3]S9 시리즈는 진동형 물걸레의 청소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 물통에 온수를 채워놓고 물걸레 청소를 하게 됩니다. | 70°C | 상온 | |
물걸레 자동 세척[4]물걸레 자동 세척시 고급 제품일수록 세척 온도가 높아져서 더 깨끗한 걸레 세척이 가능합니다. | 80°C | 60°C | |
도크 자동 세척 | 80°C | 60°C | |
세제 디스펜서 | O | ||
물걸레 자동 건조[5]로봇 청소기 사용시 가장 많은 불만 중의 하나는 물걸레 냄새 이슈입니다. 냄새에 예민하시다면 최대한 높은 건조 온도의 제품을 추천합니다. | 60°C | ||
물걸레 세척판 자동 청소 | O | X | |
판매 |
2.사이드 물걸레 : 가구 다리 밑 vs 벽 가장자리
두 번째 차이점은 사이드 물걸레입니다. S9 MaxV U는 가구 다리 밑 청소에 좋습니다. 더 빨라진 회전수와 업그레이드된 측면 구조광 센서 덕분에 0.5mm까지 초밀착이 가능해, 의자나 침대 다리처럼 모양이 복잡한 물체에도 최대한 가깝게 접근해 꼼꼼하게 물걸레질할 수 있습니다.
반면, S8 MaxV/Max U는 벽 가장자리 청소에 강점을 보입니다. 보급형 로보락에는 없는 별도의 미니 사이드 물걸레가 장착되어 있어 벽과의 간격을 좁히며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먼지가 쌓이기 쉬운 벽 가장자리의 물걸레 청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신다면 이 모델을 추천드립니다.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 |
![]() |
||
추천 | 가구 다리 밑 청소 | 벽 가장자리 청소 | |
사이드 물걸레[6]진동형 물걸레를 채택하는 로보락의 플래그십 라인업에는 측면에 엑스트라 엣지 형태의 미니 사이드 물걸레가 장착되어 가장자리에 더 밀착해서 걸레질 할 수 있습니다. | 엑스트라 엣지 | ||
RPM | 220 | 185 | |
벽과 거리[7]측면 센서 성능이 좋을수록 더욱 가장자리와 밀착해서 벽 가장자리나 의자, 소파 다리 밑에 모인 먼지들을 꼼꼼하게 닦아 낼 수 있습니다. | 0.5mm | 1.7mm | |
측면 센서[8]측면 센서 성능이 높아질수록 가장자리와 더 밀착해서 물걸레질이 가능합니다. S9의 측면 구조광 센서는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며 가까울수록 성능이 좋기 때문에 더욱 세밀한 거리 조절이 가능합니다. | VertiVeam 구조광 | Wall Sensor | |
판매 |
3.청소 성능 : 트리플 vs 싱글 구조광 vs No 카메라
세 번째 차이점은 청소 성능입니다. S9 울트라는 섬세한 회피 능력이 돋보입니다. 트리플 구조광과 측면 구조광 센서를 통해 얇은 전선이나 작은 물체, 갑자기 움직이는 반려동물까지 인식이 잘 되어, 바닥을 완벽히 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청소 효율이 높습니다. 복잡한 집 구조나 물건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유리합니다.
한편, S8 MaxV U는 반사율이 높은 물체 회피에 좋습니다. S8 Max U에는 없는 RGB 카메라 탑재로 인식 가능한 사물 개수가 더 많으며, 반려동물 관찰 등을 위한 홈캠 기능으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어지럽혀진 장난감 방 같은 복잡한 구역은 앱을 통해 청소 금지 구역 설정이나 회피 민감도 조절을 하면 어느 정도 보완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S8 Max U는 카메라가 없어서 보안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홈캠 자체가 없으므로 카메라에 대한 걱정을 줄일 수 있고, 거울이나 반사율이 높은 물체만 미리 치워 둔다면 무리 없이 청소가 가능합니다. 추가로 앱에서 청소 금지 구역을 설정해두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 |
![]() |
![]() |
|
추천 | 섬세한 회피 | 반려동물 관찰 | 카메라 보안 |
시스템[9]RGB 카메라가 장착된 시리즈는 마치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과 같아 AI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단순 구조광으로만 구성된 제품은 3D(깊이 감지)라는 네이밍이 붙었습니다. | Reactive AI 3.0 | Reactive AI 2.0 | Reactive 3D |
사물 인식[10]트리플 구조광+RGB 조합의 S9이 가장 인식 개수가 많으며, 싱글 구조광+RGB의 S8 MaxV U가 73종, 그리고 싱글 구조광으로만 구성된 S8 Max U가 42종으로 가장 회피 개수가 적습니다. | 108종 | 73종 | 42종 |
맵핑[11]LDS 기반 로봇 청소기는 상단 LDS 센서를 통해서 주변 공간의 2D 평면 지도를 맵핑합니다. 모인 정보는 로보락 앱에서 방별 실시간 청소 상태, 청소 금지 구역 설정 등 세부 셋팅에 활용됩니다. | LDS | ||
근접 센서[12]구조광 센서는 격자 패턴의 적외선을 장애물에 쏴서 패턴의 왜곡된 정도로 거리를 계산합니다. 거리가 멀수록, 물체의 복잡한 구조, 외부 빛의 양에 따라서 감지력에 영향을 주므로 트리플 구조광처럼 여러 각도에서 비추는 경우 회피력이 더 높아집니다. | 트리플 구조광 | 싱글 구조광 | |
측면 센서[13]측면 센서의 성능은 가장자리 밀착뿐만 아니라 전선 같은 얇은 물체에 대한 회피력도 높여줍니다. | VertiVeam 구조광 | Wall Sensor | |
얇은 전선 잘 피함 | 벽에 최대한 밀착 청소 | ||
RGB 카메라[14]RGB 카메라는 Red, Green, Blue 삼원색을 바탕으로 인간의 ‘눈(Vision – 모델명에 V 포함)’의 역할을 하며 물체의 색을 구분합니다. 근접 센서가 못 보는 색 인지를 통해 거울, 알루미늄 물체, 대리석 바닥 등 반사율이 높은 물체에 대한 회피력을 높여줍니다. | 반사율 높은 물체 회피 | X | |
홈캠[15]RGB 카메라가 센서로 장착된 로봇청소기는 홈캠 기능이 제공됩니다. 만약 보안상 홈캠 때문에 로봇청소기 사용을 망설이고 계신다면, 라이브 모드를 끄거나, RGB 카메라가 없는 모델(모델명에 V가 없는 제품)을 구매하시면 어느 정도 보안 불안감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 반려동물 관찰 | X | |
판매 |
4.가구 밑 청소 높이 : 7.98 vs 10.3cm
네 번째 살펴볼 점은 가구 밑 청소 높이입니다. S9 MaxV U는 가변 LDS 센서를 활용해 최대 7.98cm까지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침대나 소파 밑처럼 낮은 공간이 많을 경우 유리합니다.
반면, S8 MaxV/Max U는 고정 LDS 센서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가변 LDS가 때때로 높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충돌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충돌 위험을 최소화하고 싶다면 S8 시리즈가 조금 더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 |
![]() |
||
추천 | 낮은 가구 밑 청소 | 기기 센서 보호 | |
LDS | 가변 LDS | 고정 LDS | |
로봇 높이(cm) | 9.35(LDS 일반) 7.98(LDS 숨김) |
10.3 | |
로봇 가로(cm) | 35.0 | ||
로봇 세로(cm) | 35.3 | ||
판매 |
5.문턱 넘기 : 3 vs 2cm
다섯 번째 차이점은 문턱 넘기 높이입니다. S9 MaxV U는 최대 3cm의 문턱을 넘을 수 있으며, 이중 문턱도 4cm까지 가능해 두꺼운 어린이 매트나 실내 문턱이 있는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청소합니다.
한편, S8 MaxV/Max U는 2cm 높이까지 문턱을 넘을 수 있어 일반적인 매트나 문턱에 적합합니다. 2cm 이상의 문턱에는 문턱경사판을 추가로 설치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 |
![]() |
||
추천 | 두꺼운 매트 | 일반 매트 | |
단일 문턱 | 3cm | 2cm | |
이중 문턱[16]로보락의 문턱 넘기는 문턱이 긴 경우 성능이 떨어진다는 평이 있기 때문에 제품 자체의 성능에 의존하기 보다는 문턱 경사판을 구매하시거나 앱의 청소 금지 구역 설정을 통한 보완을 추천합니다. | 4cm | X | |
판매 |
6.카펫 청소 : 물걸레 자동 탈부착 vs 리프팅
여섯 번째 살펴볼 점은 카펫 청소입니다. S9 MaxV U는 장모 카펫이 있는 공간에 유리합니다. 장모 카펫은 물걸레 리프팅만으로는 물걸레가 닿을 위험이 있는데, S9은 도크에서 물걸레를 자동으로 탈부착해 완전히 제거한 뒤 카펫을 청소할 수 있어 수동 탈착의 수고로움을 덜어줍니다.
이에 반해, S8 시리즈는 일반 카펫 청소에 무난합니다. 카펫 바닥을 감지하면 물걸레가 자동으로 약 2cm가량 들어 올려져 카펫을 보호하고, 그 구역을 지날 때 흡입력이 높아져 먼지 제거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카펫 구역을 벗어나면 물걸레가 다시 내려와 바닥 청소를 이어가면서 진공 청소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습니다.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 |
![]() |
||
추천 | 장모 카펫 | 일반 카펫 | |
물걸레 자동 탈부착[17]장모 카펫처럼 털이 긴 경우 물걸레 리프팅으로도 물걸레가 카펫에 닿을 수 있기 때문에 물걸레의 완전 탈착이 안전합니다. 자동 탈착이 있으면 로봇이 자동으로 도크에서 걸레를 제거하고 카펫을 청소합니다. | O | X | |
물걸레 리프팅[18]습기가 닿으면 안되는 바닥을 자동으로 인식하거나 앱에서 구역 설정을 하시면 해당 지역에서 자동 물걸레 리프팅으로 습기 접촉을 최소화시켜줍니다. | 1.8cm | 2.0cm | |
판매 |
7.브러시 : 엉킴방지 vs 흡입력
일곱 번째 차이점은 브러시입니다. S9 MaxV U는 머리카락 엉킴 방지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듀오 디바이드 브러시의 중간이 갈라져 있고, 사이드 브러시도 나선형 아크 형태라 머리카락이 롤러에 엉키는 것을 최대한 줄여줍니다.
한편, S8 시리즈는 듀오 롤러 브러시로 한 번에 두 번 흡입하는 효과가 있어 꼼꼼한 청소가 가능합니다. 사이드 브러시도 직선형으로 되어 있어 먼지를 모으는 데 효율적입니다. 다만 롤러의 머리카락 엉킴 관리는 주기적으로 해줘야 하지만, 흡입력을 중시한다면 싱글 롤러 구조의 보급형 대비 만족스러운 선택이 될 것입니다.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 |
![]() |
||
추천 | 머리카락 엉킴 방지 | 꼼꼼한 흡입력 | |
메인 브러시[19]듀오 디바이드는 머리카락이 중간으로 몰려서 롤러 엉킴 방지에 좋습니다. 한편, 듀오 롤러 방식은 보급형의 싱글 롤러보다 흡입력이 좋은 대신 머리카락 엉킴 때문에 롤러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주면 좋습니다. | 듀오 디바이드 | 듀오 롤러 | |
머리카락 덜 엉킴 | 흡입이 꼼꼼함 | ||
사이드 브러시[20]S8 시리즈의 직선형 사이드 브러시는 먼지를 모으는데는 좋지만 메인 브러시에 머리카락 엉킴도 같이 유도하기 때문에 S9에서는 나선형 구조로 머리카락을 롤러 중앙으로 모아서 엉킴을 줄여주고 있습니다. | 나선형 아크 브러시 | 직선 사이드 브러시 | |
머리카락 덜 엉킴 | 먼지가 잘 모임 | ||
판매 |
8.배수 : 물탱크 vs 직배수
여덟 번째로 살펴볼 점은 배수 방식입니다. 물탱크형은 물걸레 자동 세척·건조가 편리합니다. 세제 자동 투여와 함께 80도 온수 세척과 60도 열풍 건조가 적용되어 위생적이며, 공사 없이 바로 설치 가능해 위치 선정도 자유롭습니다. 자동 세척 기능은 물걸레 세척이 귀찮으셨던 분들께 체감이 큰 옵션입니다.
나아가, 직배수형은 배수 관리가 더욱 간편합니다. 상하수관에 직접 연결되므로 청수 채우기와 오수통 비우기가 자동화되어 냄새 문제에서도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또한 도크 높이가 더 낮아, 추후 싱크대나 진열장 공사 시 공간 활용 면에서도 이점이 있습니다. 오수통을 비울 때 냄새에 예민하신 경우 직배수형을 추천합니다.
제품 |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배수 | 물탱크 | 직배수 | 물탱크 | 직배수 | 물탱크 |
![]() |
![]() |
![]() |
![]() |
![]() |
|
추천 | 자동 세척 편리 | 냄새 최소화 | 자동 세척 편리 | 냄새 최소화 | 자동 세척 편리 |
도크 청수통(ml)[21]물걸레 자동 세척을 위해서 물탱크형은 주에 1 ~ 2회 정도 청수통에 물을 공급해주시면 됩니다. 직배수형은 정수기처럼 상수관에 직접 연결되어 물공급이 자동입니다. | 4000 | 상수관 직접 연결 | 4000 | 상수관 직접 연결 | 4000 |
도크 오수통(ml)[22]물걸레 세척을 하고 난 물은 오수통에 모입니다. 물탱크형은 해당 물을 주기적으로 비워주며, 2주에 한 번 정도 청소를 해주면 됩니다. 직배수형은 바로 하수관에 연결되어 즉시 배출되어 오수 관리에 좀 더 위생적입니다. | 3500 | 상수관 직접 연결 | 3500 | 상수관 직접 연결 | 3500 |
설치[23]물탱크형은 즉시 사용이 장점입니다. 직배수형은 정수기처럼 도크와 상하수관의 연결 공사가 필요합니다. 단, 배수 연결은 로보락에서 무료로 제공하지만, 미관을 위한 싱크대 진열장 리폼 공사는 개인적으로 진행하셔야 합니다. | 즉시 사용 | 별도 공사 | 즉시 사용 | 별도 공사 | 즉시 사용 |
거치[24]물탱크형은 설치 위치가 자유입니다. 직배수형은 싱크대 근처처럼 상하수관 근처로 위치가 제한됩니다. | 자유 | 상하수관 근처 | 자유 | 상하수관 근처 | 자유 |
도크 높이(cm)[25]보통 로봇청소기는 싱크대 진열장 리폼 공사를 통해서 거치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제품 높이가 진열장에 들어가는지 미리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직배수형이 더 낮은 높이로 공간 활용성이 좋습니다. | 47.0 | 30.0 | 47.0 | 30.0 | 47.0 |
도크 가로(cm) | 40.9 | ||||
도크 깊이(cm) | 44.0 | 44.0 | 41.9 | ||
판매 |
로보락 S9 MaxV Ultra vs S8 MaxV 나에게 딱 맞는 제품은?
S9 MaxV U 물탱크형은 복잡한 집 구조에 추천합니다. 뛰어난 장애물 회피력과 3cm 문턱 넘기 기능으로 집 안 곳곳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온수 물걸레질과 높은 압력 덕분에 강력한 청소 성능을 보여줍니다. 가변 LDS 센서 덕분에 침대나 쇼파 밑처럼 낮은 공간까지 꼼꼼히 커버할 수 있습니다.
S9 MaxV U 직배수형은 오수통 냄새나 위생 문제에 민감하신 분께 좋습니다. 상하수관과 직접 연결되어 청수 통합 관리가 자동화되고, 도크 높이도 낮아 인테리어적인 심미성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완전 자동화와 깔끔한 설치를 원하신다면 제격입니다.
S8 MaxV U 물탱크형은 일정이 바쁜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물걸레 청소·세척·건조를 원하는 시간에 예약만 해두면, 퇴근 후 이미 바닥이 깨끗하고 물걸레도 건조되어 있어 매일 상쾌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보급형에는 없는 미니 사이드 물걸레까지 있어 먼지가 잘 모이는 벽 가장자리 청소도 한층 꼼꼼합니다.
S8 MaxV U 직배수형은 물통 관리조차 번거롭다면 고려해볼 만합니다. 물걸레 세척 후 나오는 오수도 자동으로 비워주고, 청수도 자동으로 공급해주므로 정말 신경 쓸 일이 거의 없습니다. RGB 카메라를 통해서 외출하셨을 때 반려동물을 관찰하는 홈캠 기능도 활용 가능합니다.
S8 Max U 물탱크형은 카메라가 없는 모델이라 보안에 민감한 분들께 좋습니다. 홈캠 기능이 없으므로 카메라 노출에 대한 근본적인 걱정을 덜 수 있으며, 단순 IR 적외선의 보급형 모델과 달리 구조광 센서로 회피 성능도 준수합니다. 물걸레 자동 세척과 보안성을 동시에 잡고 싶으신 경우 추천합니다.
제품 | S9 MaxV U | S8 MaxV U | S8 Max U | ||
---|---|---|---|---|---|
배수 | 물탱크 | 직배수 | 물탱크 | 직배수 | 물탱크 |
![]() |
![]() |
![]() |
![]() |
![]() |
|
추천 | 복잡한 집 | 냄새 예민 | 바쁜 일정 | 자동 물통 | 보안성 |
물걸레 압력 | 8N | 6N | |||
물걸레 면적 | 1.26 * ∂ | ∂ | |||
물걸레[1]로봇청소기의 물걸레는 진동형 < 회전형 < 롤러형 순서로 압력이 높아집니다. 대신 진동형은 얇기 때문에 건조가 빨라서 잦은 물걸레 청소에 좀 더 위생적입니다. | 진동형 분당 4000회 |
||||
로봇 물통 온도 | 70°C | 상온 | |||
물걸레 자동 세척[2]물걸레 자동 세척시 고급 제품일수록 세척 온도가 높아져서 더 깨끗한 걸레 세척이 가능합니다. | 80°C | 60°C | |||
도크 자동 세척 | 80°C | 60°C | |||
세제 디스펜서 | O | ||||
물걸레 자동 건조[3]로봇 청소기 사용시 가장 많은 불만 중의 하나는 물걸레 냄새 이슈입니다. 냄새에 예민하시다면 최대한 높은 건조 온도의 제품을 추천합니다. | 60°C | ||||
물걸레 세척판 자동 청소 | O | X | |||
벽과 거리 | 0.5mm | 1.7mm | |||
사이드 물걸레 | 엑스트라 엣지 | ||||
RPM | 220 | 185 | |||
측면 센서[4]측면 센서 성능이 좋을수록 더욱 가장자리와 밀착해서 벽 가장자리나 의자, 소파 다리 밑에 모인 먼지들을 꼼꼼하게 닦아 낼 수 있습니다. | VertiVeam 구조광 | Wall Sensor | |||
회피 방식 | 트리플 구조광 + RGB | 싱글 구조광 + RGB | 싱글 구조광 | ||
시스템[5]RGB 카메라가 장착된 시리즈는 마치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과 같아 AI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단순 구조광으로만 구성된 제품은 3D(깊이 감지)라는 네이밍이 붙었습니다. | Reactive AI 3.0 | Reactive AI 2.0 | Reactive 3D | ||
사물 인식[6]트리플 구조광+RGB 조합의 S9이 가장 인식 개수가 많으며, 싱글 구조광+RGB의 S8 MaxV U가 73종, 그리고 싱글 구조광으로만 구성된 S8 Max U가 42종으로 가장 회피 개수가 적습니다. | 108종 | 73종 | 42종 | ||
맵핑[7]LDS 기반 로봇 청소기는 상단 LDS 센서를 통해서 주변 공간의 2D 평면 지도를 맵핑합니다. 모인 정보는 로보락 앱에서 방별 실시간 청소 상태, 청소 금지 구역 설정 등 세부 셋팅에 활용됩니다. | LDS | ||||
근접 센서[8]구조광 센서는 격자 패턴의 적외선을 장애물에 쏴서 패턴의 왜곡된 정도로 거리를 계산합니다. 거리가 멀수록, 물체의 복잡한 구조, 외부 빛의 양에 따라서 감지력에 영향을 주므로 트리플 구조광처럼 여러 각도에서 비추는 경우 회피력이 더 높아집니다. | 트리플 구조광 | 싱글 구조광 | |||
측면 센서[9]측면 센서의 성능은 가장자리 밀착뿐만 아니라 전선 같은 얇은 물체에 대한 회피력도 높여줍니다. | VertiVeam 구조광 | Wall Sensor | |||
얇은 전선 잘 피함 | 벽에 최대한 밀착 청소 | ||||
RGB 카메라[10]RGB 카메라는 Red, Green, Blue 삼원색을 바탕으로 인간의 ‘눈(Vision – 모델명에 V 포함)’의 역할을 하며 물체의 색을 구분합니다. 근접 센서가 못 보는 색 인지를 통해 거울, 알루미늄 물체, 대리석 바닥 등 반사율이 높은 물체에 대한 회피력을 높여줍니다. | 반사율 높은 물체 회피 | X | |||
홈캠[11]RGB 카메라가 센서로 장착된 로봇청소기는 홈캠 기능이 제공됩니다. 만약 보안상 홈캠 때문에 로봇청소기 사용을 망설이고 계신다면, 라이브 모드를 끄거나, RGB 카메라가 없는 모델(모델명에 V가 없는 제품)을 구매하시면 어느 정도 보안 불안감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 반려동물 관찰 | X | |||
로봇 높이 | 9.35cm(LDS 일반) 7.98cm(LDS 숨김) |
10.3cm | |||
LDS | 가변 LDS | 고정 LDS | |||
로봇 가로(cm) | 35.0 | ||||
로봇 세로(cm) | 35.3 | ||||
단일 문턱 | 3cm | 2cm | |||
이중 문턱[12]로보락의 문턱 넘기는 문턱이 긴 경우 성능이 떨어진다는 평이 있기 때문에 제품 자체의 성능에 의존하기 보다는 문턱 경사판을 구매하시거나 앱의 청소 금지 구역 설정을 통한 보완을 추천합니다. | 4cm | X | |||
물걸레 자동 탈부착 | O | X | |||
물걸레 리프팅[13]습기가 닿으면 안되는 바닥을 자동으로 인식하거나 앱에서 구역 설정을 하시면 해당 지역에서 자동 물걸레 리프팅으로 습기 접촉을 최소화시켜줍니다. | 1.8cm | 2.0cm | |||
메인 브러시[*]듀오 디바이드는 머리카락이 중간으로 몰려서 롤러 엉킴 방지에 좋습니다. 한편, 듀오 롤러 방식은 보급형의 싱글 롤러보다 흡입력이 좋은 대신 머리카락 엉킴 때문에 롤러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주면 좋습니다. | 듀오 디바이드 | 듀오 롤러 | |||
사이드 브러시[*]S8 시리즈의 직선형 사이드 브러시는 먼지를 모으는데는 좋지만 메인 브러시에 머리카락 엉킴도 같이 유도하기 때문에 S9에서는 나선형 구조로 머리카락을 롤러 중앙으로 모아서 엉킴을 줄여주고 있습니다. | 나선형 아크 브러시 | 직선 사이드 브러시 | |||
흡입력(Pa)[*]로봇청소기의 흡입력은 숫자 차이만큼 체감이 힘들고 마케팅적 요소라는 평이 많기 때문에 참고 정도의 옵션입니다. | 22,000 | 10,000 | 8,000 | ||
배수 방식 | 물탱크 | 직배수 | 물탱크 | 직배수 | 물탱크 |
도크 청수통(ml)[14]물걸레 자동 세척을 위해서 물탱크형은 주에 1 ~ 2회 정도 청수통에 물을 공급해주시면 됩니다. 직배수형은 정수기처럼 상수관에 직접 연결되어 물공급이 자동입니다. | 4000 | 상수관 직접 연결 | 4000 | 상수관 직접 연결 | 4000 |
도크 오수통(ml)[15]물걸레 세척을 하고 난 물은 오수통에 모입니다. 물탱크형은 해당 물을 주기적으로 비워주며, 2주에 한 번 정도 청소를 해주면 됩니다. 직배수형은 바로 하수관에 연결되어 즉시 배출되어 오수 관리에 좀 더 위생적입니다. | 3500 | 상수관 직접 연결 | 3500 | 상수관 직접 연결 | 3500 |
설치[16]물탱크형은 즉시 사용이 장점입니다. 직배수형은 정수기처럼 도크와 상하수관의 연결 공사가 필요합니다. 단, 배수 연결은 로보락에서 무료로 제공하지만, 미관을 위한 싱크대 진열장 리폼 공사는 개인적으로 진행하셔야 합니다. | 즉시 사용 | 별도 공사 | 즉시 사용 | 별도 공사 | 즉시 사용 |
거치[17]물탱크형은 설치 위치가 자유입니다. 직배수형은 싱크대 근처처럼 상하수관 근처로 위치가 제한됩니다. | 자유 | 상하수관 근처 | 자유 | 상하수관 근처 | 자유 |
도크 높이(cm)[18]보통 로봇청소기는 싱크대 진열장 리폼 공사를 통해서 거치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제품 높이가 진열장에 들어가는지 미리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직배수형이 더 낮은 높이로 공간 활용성이 좋습니다. | 47.0 | 30.0 | 47.0 | 30.0 | 47.0 |
도크 가로(cm) | 40.9 | ||||
도크 깊이(cm) | 44.0 | 44.0 | 41.9 | ||
Wi-Fi[*]와이파이 공유기는 잘 보시면 2.4GHz와 5.0Ghz로 비밀번호가 2개있으며 2.4GHz로만 연결됩니다. 2.4GHz는 느린 대신 더 넓은 영역에 장애물에도 강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5.0GHz는 빠른 대신 장애물에 취약합니다. | 2.4GHz(O) 5.0GHz(X) |
||||
음성 제어[*]직접 음성 제어 방식은 로보락 자체에 내장된 명령어가 있어서 별도 등록을 하지 않아도 바로 음성 명령이 가능합니다. 반면, 타사 앱 방식은 구글 홈, 아마존 알렉사, 네이버 클로바, 애플 시리 등 외부 앱에 별도 목소리로 명령어를 등록해야 사용 가능합니다. | 직접 | 타사 앱 간접 | |||
쿠팡별점 | ★★★★★ | ★★★★★ | |||
판매 |